호흡하는 방법을 조금만 바꿔도 건강이 달라집니다.
오늘은 호흡에 대한 말씀을 한번 드려보려고 하는데요.
여러분들 호흡을 건강하게 하고 계신가요 이렇게 질문을 드리면 아니 호흡이 그냥 숨 쉬는 거지 그게 건강한 호흡이 따로 있냐 하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으실 텐데요.
사실 우리가 숨을 어떻게 쉬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몸과 마음의 건강이 많이 달라진다는 사실입니다.
이 내용은 바로 이번에 새로 나온 이 책 호흡의 기술에 자세하게 나오는데요.
사실 저도 과거에 심신의학을 공부하면서 보니까요.
호흡의 중요성에 대해서 제가 어느 정도 알게 되었습니다.
근데 이번에 새로 나온 이 책 이 호흡의 기술은 읽어보면서 우리가 평소에 호흡을 잘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 또 한 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책 소개와 함께
바로 따라 하면 편안해지는 호흡법까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궁금하시면 끝까지 봐주시고요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구독 알림 설정까지 해주시면 정말로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교육을 전공한 교육하는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이동환입니다.
이번에 새로 나온 이 책 호흡의 기술은요 boctriger 출판사에서 나왔는데요.
저자는 jms nester라는 저술가이자 jenalist입니다.
저자는 이 책을 지필하는 데 10년이나 걸렸다고 하는데요.
그만큼 많은 호흡 전문가들을 만나고 직접 체험하고 또 연구한 내용들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더 놀라운 것은 이 책이 2020년 5월에 출간되면서 바로 뉴욕 타임즈 wstrit 저널 soundy rundo 타임즈의 bsseller top ten에 올랐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2021년에는 30개의 언어로 번역되어서 출간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마침 한국에서는 번역판이 빨리 나와서 이렇게 좋은 책을 우리가 한글로 쉽게 읽어볼 수 있어서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이 책은 시작부터 아주 흥미진진합니다.
저자가 직접 호흡에 대한 실험에 참가하면서 호흡이 건강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몸소 체험하는 과정이 나오는데요.
처음에 아주 신기하고 재미있는 실험에 참가합니다.
그 실험은 바로 스탠퍼드 입 호흡 실험입니다.
바로 코에 실리콘 장치를 넣어서 코로는 숨을 전혀 쉬지 못하게 하고 입으로만 숨을 쉬게 만든 상태에서 10일간 지내는 실험이었는데요.
그 과정에서 입으로만 숨을 쉴 때와 코로 숨을 쉴 때 나타나는 몸의 변화를 의학적 검사를 통해서 알아보는 실험입니다.
그 결과를 보면
입으로만 숨을 쉬게 했더니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가 급격히 증가했고 또 코 속에 디프테리아라는 세균이 증식해서 부비동염으로 발전하기 직전 단계였고요 혈압도 급격히 상승하셨습니다.
또 수면 무호흡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피로감 불안감이 증가하고 정신이 멍해지면서 시야가 흐려지고 배가 자주 아픈 증상이 생기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열흘 간의 호흡 실험이 끝나고 나서 다시 코로 숨을 쉬기 시작하면서 큰 변화가 오기 시작했는데요.
혈압이 떨어지고 코골이가 줄어들고 콧 속 세균 감염이 저절로 좋아지기 시작했다는 것이죠.
이 책에서는 이렇게 코로 숨쉬기와 입으로 숨쉬기의 비유를 시작으로 해서 숨을 건강하게 쉴 수 있는 방법들을 아주 과학적인 데이터를 토대로 설명하고 있는데요.
그러면서 이 책이 각 챕터마다 건강에 도움이 되는 호흡법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한 가지 소개를 드려보면요.
이 책에는 호흡 조정이라는 것이 나오는데요.
이 호흡 조정을 해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평소에 숨을 들이쉬는 들숨은 잘하지만 내쉬는 날숨은 끝까지 잘 못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완전히 숨을 내뱉는 것이 뭐가 어려울까 생각하시겠지만 그것이 그렇게 쉽지가 않습니다.
우리는 보통 숨을 쉴 때 전체 폐활량의 극히 일부만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바로 날숨을 제대로 못해서 그렇다는 것이죠.
즉 호흡을 빈번하게는 하지만 호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횡경막을 평소보다 위아래로 더 많이 움직이면서 새로운 공기를 들이마시기 전에
폐에 그 묵은 공기를 최대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것을 연습하면 호흡이 훨씬 더 효율적으로 변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이것을 바로 호흡 조정이라고 하고요 건강한 호흡을 하기 위해서 제일 먼저 해야 할 것이 바로 이 호흡 조절입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이 호흡 조정을 어떻게 하는지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일단 편안한 자세로 앉아서 시작하면 되는데요.
척추를 곧게 세우시고요 머리를 숙이지 말고 턱이 앞으로 나오지 않도록 자세를 바르게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코로 숨을 들이시고 내시는 것을 한두 번 해보시고요 그다음에 호흡 조절에 들어가는데요.
코로 자연스럽게 숨을 다 들이마실 때쯤부터 작은 소리로 숫자를 하나부터 열까지 새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날숨이 시작되는데요.
하나부터 열까지 새는 것을
날숨이 끝날 때까지 계속 반복해서 새는 것인데요.
그래서 날숨이 끝날 때가 되면 소리가 점점 작아지면서 안 나오게 되겠지만 그래도 멈추지 않고 계속 입술을 움직이면서 폐가 완전히 텅 비었다고 느껴질 때까지 숫자를 세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제가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어로 천천히 숨을 들이쉬고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오 열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 열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 열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오 열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오 열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오 열 하나 둘 셋 넷 다섯여섯 일곱 여덟
이렇게 하는 것을 하루에 10번에서 30번까지 반복을 하라고 나오는데요.
제가 해보니까 한두 번만 해도 많이 힘이 듭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무리해서 많이 하지 마시고 처음에는 두세 번 정도 해보시고 점차 횟수를 늘려가시면서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호흡의 기술이라는 책 소개해 드리면서 호흡이 건강이 얼마나 중요한지 말씀을 드렸는데요.
이 책에는 아주 다양한 건강한 호흡법이 잘 소개되어 있습니다.